Baik Art Gallery

Revisited: Jinju Lee

Maxine Sakai : Much of your content subverts traditional ideas of space and perspective, such as in Full (2011) and Conversation of All Those Whose Lips are Sealed (2012). Along with this, the material you paint on further diverts from conventional methods of presentation. What is your inspiration for this manipulation of space and unique canvas display?

Full (2011년) 및 모든 입 다문 것들의 대화 (2012년)와 같이 많은 작품들이 공간과 관점에 대한 전통적인 아이디어를 뒤집습니다. 이와 함께, 작가님이 그리는 재료는 기존의 표현 방법에서 더 많이 벗어납니다. 이 공간 조작과 독특한 캔버스 디스플레이에 대한 영감은 무엇입니까?

Jinju Lee: : It seems to have started from an interest in invisible things that still exist and remain persistent. It could be any emotion, it could be any object. Inside the box with the clasp is invisible to reality; however, it seems the box has been exposed like a translucent container to reveal something special, small and thin. The conversation of all the open-mouthed things has a similar context. When I focus on the world I’m in, I experience the feeling of observing a scene that brings a certain place to mind, like when I was hiding in a blanket of my childhood-deep and quiet inside. For the conversation of all open things I wanted to draw ‘something’ that is secret but clearly exists in many layers. In particular, I think I wanted to present the outside of the closet in the form of a shaped canvas. The moment the work hangs in the exhibition hall, the wall does not stay with the image and the story in the canvas, but expands into a space-time with many implications, not just an empty space in Eastern aesthetics. I think it functions as a space of the unconscious that has not yet emerged. The flat painting works were expressed through continued thinking about structure that expands with the space of an exhibition hall.

보이지 않지만 끈질기게 남겨져서 존재하는 것들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한 것 같습니다. 그것은 어떤 감정일 수도 있고, 어떤 대상일 수도 있겠지요. Full의 잠금쇠가 있는 상자의 속에 있는 물건은 현실에서는 겉으론 볼 수 없습니다. 하지만 그 속에 존재하는 작고 가늘고 특별한 무언가를 드러내고 싶어 상자를 반투명한 물질처럼 드러낸 것 같습니다. 모든 입 다문 것들의 대화 도 비슷한 맥락인데요, 제가 천착하는 세계에 집중할 때 내면의 깊고 고요한 -어린시절 이불장 속에 숨어 있을 때처럼- 어떤 장소에서 떠올려지는 장면을 관찰하는 느낌을 받곤 합니다. 은밀하지만 많은 레이어들의 이면에 분명하게 존재하는 ‘무엇’을 그려내고 싶었습니다. 특히 모든 입 다문 것들의 대화 는 옷장의 외곽을Shaped Canvas와 같이 캔버스의 형태로 더 현실에 강렬하게 제시하고 싶었던 것 같아요. 그 작품이 전시장 벽에 걸리는 순간, 캔버스(화면)안의 이미지와 이야기로 머물지 않고 전시장 벽의 빈 공간이 여백이 (동양미학에서는 여백이 그저 비워진 공간이 아닌 많은 함의를 품고 있는 시공간으로 확장되는데) 마치 아직 발현되지 않는 무의식의 공간으로 기능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처럼 평면회화 작품이 전시장의 공간과 연합하여 확장되는 구조에 대해 계속 고민하며 작품으로 표현했던 것 같아요.

Maxine Sakai : Unlike heavier, western mediums of painting such as gouache, acrylic, or oil, you employ the Korean boonchae technique, crushing mineral pigments that are applied to canvas and coated in adhesive. Why do you think this medium is most effective for your subject matter? Is there any new technique that you are experimenting with?

작가님은 과슈, 아크릴, 오일 등 무겁고 서양적인 화법과 달리 캔버스에 바르고 접착제로 코팅된 광물 색소를 분쇄하는 한국의 분채 기법을 사용합니다. 왜 이 기법이 작가님의 작업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합니까? 작가님이 실험하고 있는 새로운 기법이 있나요?

Jinju Lee: : I have a summary of the ingredients, so I will inform you of them. In fact, I have been receiving a Western painting art education since childhood. In South Korea, most education and culture systems are built around the Anglo-American region. When starting fine art, it is common to train and work with oil painting and watercolor. However, the more I drew, the more I decided that the materials I had to deal with for a long time would not fit me, and I thought that oriental paintings that express a clear but deep feeling by using water and gentle smearing naturally fit me. The function of the blank space of Eastern aesthetics, the color development and texture revealed by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are very attractive, and I think it is suitable for expressing the image of the work I want to present. Recently, the works of the Black Painting series are done in a way that covers the case, leaving a fragmented body with a black space instead of an empty space. At that time, the black space was initially expressed as ink or oriental painting, but by developing more saturated and matte materials, it is expressed as if it were a very black and dark, infinite space.

제가 재료에 대해 정리한 글이 있어 함께 알려드립니다.

사실 저는 서양화 미술교육을 어린시절부터 받아왔습니다. 남한에서는 대부분의 교육과 문화가 영미권 중심으로 시스템이 만들어져 있습니다. 파인아트를 시작하면 수채화에서 오일페인팅으로 교육받고 작업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입니다. 하지만 그림을 그릴수록 제가 많은 시간동안 다뤄야하는 재료의 물질성이 저와 맞지 않겠다는 판단이 들었고, 물을 사용하며 부드럽게 스미면서 맑지만 깊은 느낌을 표현하는 동양화가 체질적으로 저와 잘 맞다고 생각했습니다. 동양미학의 여백의 기능과 재료와 기법으로 드러나는 발색과 질감 등이 굉장히 매력적이고 제가 표현하는 작품의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이러한 표현방식이 오늘날에도 오히려 특별한 조형어법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고 있습니다.

최근 <블랙페인팅> 시리즈의 작품들은 빈 여백이 아닌 검은 여백으로 파편화된 신체를 남기고 사건을 뒤덮은 방식으로 그리고 있습니다. 그 때 검은 여백을 처음에는 먹이나 동양화의 분채로 표현했지만, 더 채도 높고 무광의 재료를 개발하여 마치 아주 검고 어두운 무한한 공간처럼 표현하고 있다.

Maxine Sakai : In 2017 you collaborated with Baik Art in the exhibition Dialogical Self where your work is described as, “not a personal pursuit of catharsis; rather it is the means for discovery.” While your works are an individual expression and discovery of your own life, what do you want to share with viewers and hope is experienced through your art?

2017 년에 작가님은 “Dialogical Self”전시에서 백아트와 협업하셨는데요. 여기서 작가님의 작품은 “카타르시스를 개인적으로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은 발견을 위한 수단”이라고 묘사 되었습니다. 작가님의 작품은 자신의 삶에 대한 개인적인 표현이자 발견이지만, 관객들과 나누고 싶은 것은 무엇이며, 작품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길 원하십니까?

DIALOGICAL SELF Exhibition, Installation View at Baik Art, May 20 – July 20, 2017

Jinju Lee: : Since the work is extremely personal and starts with a specific memory, some may dismiss it. However, my inner world and the world I see are not something special to me. There are a lot more similar situations, experiences, and feelings than I thought. I don’t think it’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something personal and social in binary confrontations. Sometimes it’s sparkling and beautiful, but it seems that this world can be disgusting, ridiculous, and incomprehensible. We are thrown into a world like this, and the things that I face, see, and interpret will have no choice but to be revealed in my work. There are moments in all our lives that are very bright and beautiful, and other moments that are very terrible or uncomfortable that we want to confine and not reveal. Even if we can’t talk openly, I think we all have this. In this incomprehensible world, we may close our eyes and ears and turn away, but I hope we can see and think about those things through my work. I would like to communicate to a world where beauty and hate coexist through artwork, and present things that already exist but have not yet been realized.

작업이 지극히 개인적이고 특정한 기억에서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누군가는 이진주만의 개인적이고 특수한 이야기로 치부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내가 바라보는 내면과 세상이 나에게만 해당하는 특별한 것은 아니겠지요. 비슷한 상황, 경험, 감정들도 생각보다 굉장히 많아요. 이항 대립적으로 개인과 사회적인 무언가를 서로 구분할 수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간혹 반짝거리고 아름답기도 하지만 때로는 혐오스럽고, 말도 안 되고, 이해할 수 없는 것이 이 세계인것 같습니다. 이런 세계에 우리는 던져져 있고, 그 속에서 내가 마주하고, 바라보고, 해석하는 것들이 작업에 드러날 수밖에 없겠지요. 우리 모두의 삶에는 굉장히 찬란하고 아름다웠던 순간도 있고, 유폐시키고 드러내기 싫은 매우 끔찍하거나 불편한 순간도 있습니다. 드러내놓고 이야기하지 못해도 우리는 이 모두를 다 간직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불가해한 세상에서 눈과 귀를 닫고 외면할 수도 있지만 그런 것들을 제 작품을 통해서 우리가 함께 한 번 더 보고 생각해봤으면 좋겠습니다. 아름다움과 혐오가 공존하는 이 세계를 작품으로 소통하고, 우리에게 이미 존재하지만 미처 깨닫지 못하는 것들을 제시하고 싶습니다.

Maxine Sakai : In 2019 your work was exhibited again by Baik Art in Seng Hwal, alongside your husband and fellow artist Lee Jeong-bae. Although you often work together, presenting together is less common. What was your experience working versus showing together? What did you find was most enjoyable about the process?

2019년 작가님의 작품은 남편이자 동료 예술가인 이정배 작가님과 함께 백아트의 “생활”전에 의해 다시 전시되었습니다. 두 분이 종종 함께 일하지만, 함께 전시하는 것은 흔하지 않는데요, 함께 작업한 경험과 함께 전시한 경험은 어땠습니까? 그 과정에서 가장 즐거웠던 점은 무엇입니까?

SENG HWAL Exhibition, Installation View at Baik Art, September 24 - October 15, 2019

Jinju Lee: My husband, Lee Jeong-bae, and I are always having a lot of influence on each other’s life and work. Even if we announced a solo exhibition alone, there still seems to be a hidden influence. This influence was more directly exposed in the exhibition Life at Baik Art in 2019 with collaborative works and items such as furniture made by hand for use in life. Creating a collaboration piece together was more difficult and fun than I thought, but it was very interesting to feel our unique worlds collide with each other and expand.

남편이 이정배 작가와 저는 늘 생활과 작품에 많은 영향을 주고받고 있습니다. 단독으로 각자의 개인전을 발표해도 서로의 영향력은 알게 모르게 숨어 있었던 것 같아요. 2019년의 백아트의 “생활” 전에서는 협업작품과 생활에서 쓰기 위해 직접 만든 가구 등의 물건들로 더 직접적으로 드러냈습니다. 콜라보 작품을 함께 만드는 건 생각보다 어렵고 재미있었는데, 서로의 고유한 작품세계가 서로 충돌하면서 어우러지며 확장되는 느낌이 무척 흥미로웠어요.

 

Maxine Sakai : You have said, “Life wanders, but memories remain,” how does your art distort or deconstruct memories of your past? Do you see your art as a method of discovering more about memories that remain?

“인생은 방황하지만 기억은 남아있다”고 하셨는데요, 작가님의 예술은 어떻게 과거의 기억을 왜곡하거나 해체합니까? 작가님께서는 자신의 예술을 남은 기억들에 대해 더 많이 발견하는 방법으로 보시나요?

 

Jinju Lee: I’m more focused on how we look at this world now and perceive it subjectively. At that time, I thought the source of many consciousnesses and emotions we perceive came from “memory”, and that new experiences and sensations were interpreted and “remembered” under each individual’s subjectivity. The works containing my special memories and scenes of life are not limited to monologues, but as I communicated with many people I didn’t know at all, each episode was different but I felt a lot of worlds that were ‘under-subjected’.

As Henri Bergson’s Matter and Memory says, the contrast with matter is not ‘reason’ or ‘spirit’, but ‘memory’. By seeing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our mind as the ability for memory, that change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our perceptions leap beyond the objective objects in front of us. You can see that you are experiencing and knowing the world. Although individual episodes are different, this structure is linked to the flow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I think that we see the world through a ‘subjective truth.’ The objects drawn in my work symbolize things that have remained in my mind for a long time and have not been forgotten. The remaining memories have thick implications or distorted ways, and objects that are distant from the original object have a structure that appears in the work while allowing various interpretations. In my work, you can find a wealth of known and unknown stories, such as riddles or clues, that are not only the subjects themselves, but also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s of the viewers-it is connected to the history and memory of the viewers and the discovery of their various interpretations. I hope you can appreciate it.

저는 “우리가 현재 어떻게 이 세계를 바라보고 주관적으로 인지 하는가?”에 더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때 우리가 지각하는 많은 의식과 감정들의 근원이 “기억”에서 비롯되고, 새로운 경험과 감각들도 각자의 주관으로 해석되고 “기억”된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특수한 기억과 삶의 장면이 담긴 작품이 독백에 그치지 않고 전혀 모르는 많은 사람들과 소통을 하면서 각자의 에피소드는 다르지만 ‘간주관화’ 되어 있는 많은 세계를 느꼈습니다. 앙리 베르그손의 <물질과 기억>에서 말하듯이 물질과 대비를 이루는 것이 ‘이성’이나 ‘정신’이 아닌 ‘기억’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신의 본질적 특성을 기억의 능력으로 보는 관점에서 말한다면 우리는 일상의 풍경 속에서 우리의 지각이 눈앞의 객관적 대상에만 머무르지 않고 도약하는 (과거로부터 현재로 건너오는 차원의 기억의 변화)를 경험하며 세계를 인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개인의 에피소드는 다르지만 이러한 구조는 공동체적인 의식의 흐름과 이어져 우리는 ‘주관적 진경’으로 세계를 본다고 생각합니다.

나의 작품에서 그려진 대상들은 오랫동안 내 마음에 남아 망각되지 않고 아직 할 이야기가 남은 것들을 상징합니다. 남겨진 기억은 두터운 함의를 품거나 왜곡된 방식으로 처음의 원본에서 멀어진 대상들은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채로 작품에서 등장하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제 작품에서 수수께끼나 어떤 단서와 같이 알듯 모를듯한 어떤 이야기를 풍부하게 발견할 수 있는데, 그것이 제자신 뿐만 아니라 관람자들의 주관적인 해석 – 그것은 관람자들의 역사와 기억과 연결되며 -으로 각자의 다양한 해석을 발견하고 감상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Maxine Sakai : Your most recent exhibition shown at Arario Museum  is titled The Unperceived where many of your works include figures covered or surrounded by white objects. What is the underlying theme of this show and how does the use of this white motif differ from your previous projects?

아라리오 미술관에서 열린 가장 최근 전시 <The Unperceived 死角 사각>에서 작가님의 작품들 중 많은 작품들이 하얀 물체에 가려지거나 둘러싸인 모습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전시의 기본 테마는 무엇이며 이 흰색 모티브의 용도는 이전 프로젝트와 어떻게 다릅니까?

Jinju Lee:  In the dictionary ‘Square angle’ means a range that cannot be seen from any angle’. I wanted to present ‘something’ that exists but in a visible/invisible, inexplicable way. Through a structure in which the entire work cannot be viewed completely, I wanted to visually present that there is a truth that clearly exists but cannot be seen, distorted, or invisible on the other side of the life we face. In the work in The Unperceived Square, white objects or people are hidden from view, or the main words of life are expressed as theatrical “act 1” or “act 2”, and have various meanings and functions, creating an important structure of the painting.

‘사각’은 사전적으로는 ‘어느 각도에서도 보이지 아니하는 범위’라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존재하지만 볼 수 없는/ 보이지 않는 설명할 수 없는 방식으로 존재하는 ‘무언가’를 제시하고 싶었습니다. 전체 작품을 온전하게 조망할 수 없는 구조를 통해, 우리가 마주하는 삶의 이면에는 분명히 존재하지만 볼 수 없거나 왜곡되는 , 혹은 보이지 않는 진실이 있음을 시각적으로 제시하고 싶었습니다. <The Unperceived 死角 사각> 속 작품에서 하얀 물체는 볼 수 없게 가려지거나 사람들을 숨기거나… 혹은 인생의 주요한 마디를 연극적인 “1막”, “2막”처럼 표현하거나 등 여러가지 의미와 기능을 띈 채로 그림의 중요한 구조를 만들고 있습니다.

Maxine Sakai : Are there any new projects you are currently working on or considering pursuing? Do you plan on collaborating with other artists in the future?

현재 진행 중이거나 추진 중인 새로운 프로젝트가 있습니까? 앞으로 다른 작가와 협업 할 계획이 있으신가요?

Lee Jeongbae and Jinju Lee: 7분의1 (1/7) 2019 Resin, urethane color, Korean color on linen 9.25 x 34.25 x 10.24 inches

Jinju Lee:  In the spring, works of the exhibition The Unperceived Square will be exhibited in Seoul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with the theme of the pandemic. It is a difficult situation to accurately tell you with Corona 19.

The more I work, the more I realize how important the form of art is. It is not only my interpretation of humanity or the world that I want to reveal through my work, but also how to express it in an artistic form. I think what I am particularly interested in is how these serious and detailed images acquire “temporality”. It was revealed as ‘detail’ and ‘the structure in which the screen is presented’… If viewers take their time and interact with the work seriously in a painting, not a video, which is an image with temporality, they will meet their own story with many associations and memories through various symbols in my work. I think the work can play the same role as a possible catalyst.

My work starts with my personal narrative, but I want it to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not just a fixed monologue. Personal and social are not a concept of binary opposition to each other, but I think that we can meet universally with society even under individual subjectivity. Here, in the formative studies on the pictoral temporality of my work, I mentioned only the ‘detail’ that stems from long observations and persistent depictions… In addition, there are methods such as ‘three-faced painting’, ‘sided painting’, ‘three-dimensional painting’, and ‘shaft canvas’ that study time and space together. An arrangement of screens uses a method of simultaneously presenting heterogeneous landscapes with a ‘fake well’ (2017) in a parallel arrangement and a large-scale horizontal, long canvas in front of a stationary painting where the spectator physically moves to the side. Experiments such as the ‘Lowlands’ (2017), which discovers the narrative of one’s own poems with temporality, are likely to follow. In this way, I think I will expand my research on how to present time, space, and perspective in a pictorial structure.

봄에 팬데믹을 주제로한 한국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The Unperceived 死角 사각 > 전시의 The Unperceived 死角 사각  작품이 참여될 예정이며, 다음 개인전은 아라리오갤러리 상하이에서 2022년~2023년쯤 있을 예정이나, 코로나19로 정확히 말씀드리긴 어려운 상황입니다.

작업을 할 수록 미술이 가진 조형적 형식이 얼마나 중요한가?에 대하여 점점 실감하게 되는데요, 작품을 통해 드러내고 싶은 인간이나 세계에 대한 저의 해석과 같은 의미 뿐만 아니라 그것을 결구 미술적 형식으로 ‘어떻게’ 드러내는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특히 관심을 가지는 부분은 이렇게 진중하고 세밀한 이미지들이 어떻게 “시간성”을 획득할 수 있는가? 입니다. 그것을 ‘디테일’과 ‘화면이 제시되는 구조’로 드러냈었는데요… 시간성을 가진 이미지인 영상이 아니라 정지된 평면의 이미지, 즉 회화에서도 관람자가 진지하게 시간을 가지고 작품과 교감을 한다면,  제 작품 속 여러 상징을 통해 많은 연상과 기억들과 함께 그들 나름의 이야기를 만날 수 있는 촉매제와 같은 역할을 작품이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제 작업은 저의 개인적인 내러티브에서 출발하지만, 그것이 고정된 독백에 그치지 않고 다양하게 해석되기를 원합니다. 개인적 것과 사회적인 것은 서로 이항대립적인 개념이 아니라, 개인의 주관 속에서도 우리는 보편성과 이 사회의 일부를 만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제 작품의 회화적 시간성에 대한 조형 연구 중에서 오랜 관찰과 집요한 묘사에서 비롯된 ‘디테일’만 언급했지만… 그 밖에 시간과 공간을 함께 연구하여 ‘삼면화’, ‘이면화’, ‘입체적 회화’, ‘쉐이프트캔버스’ 같은 방식이 있습니다. 화면의 배치에서도 병렬적 배치로 ‘가짜우물’(2017)로 이질적 풍경을 동시에 제시하는 방식을 쓰기도 하고, 큰 스케일의 가로로 긴 화면의 캔버스로 관람자가 물리적으로 옆으로 이동하며 정지된 회화 앞에서 시간성을 가지며 자시만의 서사성을 발견하는 ‘저지대’(2017) 와 같은 실험이 이어질것 같습니다. 이과 같이 시간과 공간과 시점을 어떻게 회화적인 구조로 제시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를 확장할 것 같습니다.

COLLABORATORS

0 Comments